본문 바로가기
주식

재무비율 분석

by 땃쥐 2021. 7. 29.
반응형

ROA(총자산 순이익률)

자산에 투자된 금액 중 연간 몇 %를 이익으로 창출하였는가?

총자산순이익률=당기순이익/평균총자산 * 100

=순이익/매출액 * 매출액/총자산

=매출액 순이익률 * 총자산 회전율

 

ROE(자기 자본 순이익률)

워렌 버핏이 자주 쓰는 방법

주주의 순투자금액으로 연간 몇 %의 이익을 창출하였는가?

 

자기자본순이익률=당기순이익/평균자기자본 * 100

= 순이익/매출액 * 매출액/총자산 * 총자산/자기자본

= 매출액 순이익률 * 총자산 회전율 * 재무 레버리지

자산이익률 증가, 재무 레버리지 증가

->ROE 증가

 

ROE가 높다면 계속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가?

경쟁이 시작되거나, 시장점유율을 증가시키거나 신규사업시작시 ROE 감소할 수 있음

낮은 ROA를 유지하더라도 부채를 잘 활용하여 높은 ROE를 발생시킬 수 있나?

 

EPS

주당순이익

자본규모가 서로 다른 기업들의 경영성과를 기간별로 비교 가능

PER계산의 기초자료로 활용

 

PER

주가수익비율(PRICE EARNING RATIO)

비슷한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 간 이익 대비 주가를 살펴보고 기업 주가의 저평가/고평가를 판단하는 지표

주가수익비율 = 시가총액(주가) / 순이익(주당순이익)

 

턴어라운드

주식시장 측면: 적자기업이 흑자로 전환되는 경우

반응형

'주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주린이의 깨달음  (0) 2021.08.02
주식 블로그 (참고)  (0) 2021.08.02
손익계산서  (0) 2021.07.29
재무상태표 구성  (0) 2021.07.28
회계의 환경  (0) 2021.07.28

댓글